인프라/하드웨어 지식

인프라 지식 - SAN Switch 조닝이란?

snowman95 2021. 5. 30. 22:00
728x90
반응형

조닝 (Zoning)


조닝이란 ?

하나의 Fabric 영역을 가상으로 2개 이상으로 나눈 것이다.

 

왜 사용하는가?

여러 서버가 동일 스토리지 사용할 경우, 서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한다.

각각의 zone을 구성해서 zone안에 소속된 장비끼리만 접근하는 개념이다.

 

종류

  1. Hard zoning (Port zoning) : 물리적인 포트를 지정하여 zone 구성
    장점 : 대상의 정보 없이 사전 Zone 구성 가능
    단점 : 물리적으로 포트에 장애 발생시 통신 불가. 다른 포트로 옮기면 zoning 재구성 필요함.
  2. Soft zoning (WWN zoning) : 장비에 붙은 고유 ID로 zone 구성
    장점 : 어느 포트에 꽂아도 WWN만 맞으면 통신 가능. 포트 고장시 다른 포트에 꽂으면 통신 가능.
    단점 : 사전에 WWN 정보 알아야 zoning 가능. HBA카드 장애 시 zoning 재구성 필요함.
    ※ WWN은 해당 포트에 붙는 고유한 주소 (중복 없음)

 

어떻게 구성하는가?

설정 확인 → alias 생성 zone 생성 Config내 Zone 추가 Config 활성화

 

  1. 설정 확인
    # zoneshow

    # switchzone
    Domain ID 확인.
    원하는 포트에 케이블 연결되었는지 확인.
    장비에서 확인한 WWN 이 포트에서 확인된 WWN과 동일한지 확인

  2. alias 생성
    alias는 1:1 혹은 1:N 의 관계를 가진다.
    Port zoning 시
    # alicreate "alias name", "switch domain number; port number; ... 여러개 입력 가능"
    WWN zoning 시

    # alicreate "alias name", "WWN; ... WWN"

    # alishow | grep alias명


  3. zone 구성
    zone 은 1:N 의 관계를 가진다.
    이 zone에 포함되는 대상 끼리 접근 가능함.
    # zonecreate "zone name", "alias name; ... alias name"

    # zoneshow | grep zone명

  4. cfg 생성
    # cfgcreate "cfg name", "zone name; ... zone name"

    혹은 cfgadd로 추가해줄 수 있음
    # cfgadd "cfgname", "zone name"

  5. cfg 저장
    # cfgsave

  6. cfg 활성화
    cfg를 활성화 하고 나면 구성한 장치들 사이에 통신이 가능해짐
    # cfgenable "cfg name"
    # zoneshow
반응형